
여러분, 매년 봄바람이 불 때면 근로장려금 이야기가 빠지지 않죠? 저도 작년에 처음 도전해봤는데, 그 쏠쏠함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올해는 특히 맞벌이 가구 기준이 확~ 완화돼서, 혹시 나도 해당될까? 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 놓치면 속상하잖아요?
그래서 이번엔 2025년 근로장려금에 대해, 누가 받을 수 있고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신청 방법까지! 제 경험과 꿀팁을 섞어서 쉽고 유쾌하게 풀어드릴게요. 이 글만 보면 궁금증이 싹~ 해결되실 거라 장담합니다!
2025년, 혹시 여러분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는지 아시나요?
‘나는 해당 안 될 텐데…’ 하고 그냥 지나치셨던 분? 의외로 지원 대상이 넓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근로장려금은 월급쟁이만의 전유물이 아니에요. 아르바이트생, 자영업자, 프리랜서까지! 열심히 일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을 꿈꿔볼 수 있답니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 근로장려금은 ‘가구’ 단위로 소득과 재산을 따진다는 거예요.
혼자 산다고 무조건 단독가구, 결혼했다고 다 맞벌이 가구? 아뇨~ 가구 유형에 따라 지원금이 다르니, 본인 타입을 꼭 체크하세요!
참고로, 작년 기준 단독가구 165만 원, 홑벌이 가구 285만 원,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까지 받았는데요. 올해는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이 더 넉넉해졌다는 소문! 확실히 체크하고 가세요.
가구 유형 | 2024년 총소득 기준 | 최대 지급액 |
---|---|---|
단독 가구 | 2,200만 원 미만 |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 3,200만 원 미만 |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 4,400만 원 미만 | 330만 원 |
작년에 아깝게 기준을 넘어서 신청을 못 했던 맞벌이 부부라면, 올해는 희망의 불씨가! 소득 기준이 3,8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껑충 뛰었어요. 저라면 이 소식 바로 친구들에게 자랑했을 듯해요.
소득 & 재산, 이 두 가지는 꼭 체크!
근로장려금은 소득과 재산, 이 두 가지 산만 넘으면 바로 신청 가능! 소득이 아무리 적어도 재산이 많으면 탈락이니 조심!
소득 요건부터 볼까요? 표에서 본 것처럼 가구 유형별로 연간 총소득 기준이 정해져 있어요. 근로, 사업, 프리랜서, 심지어 이자·배당·연금소득까지 다 합산! 복잡해 보여도 홈택스나 손택스 앱 쓰면 쉽게 예측 가능합니다.
저도 처음엔 머리 아팠는데, 앱 한 번 돌려보고 ‘오, 이거라면 나도 되겠는데?’ 싶었거든요.

재산 요건도 중요하죠.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모두 합친 재산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면 OK! 여기엔 집, 땅, 차는 물론 예금, 전세보증금까지 다 포함돼요.
근데 또 함정! 재산이 1억 7천만 원~2억 4천만 원 사이면, 장려금의 50%만 지급된다는 사실. ‘2억 4천만 원만 넘지 않으면 다 받겠지?’ 했다가 지급액에 깜짝 놀랄 수 있으니 꼭 기억하세요!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요?
자, 이제 본인이 대상이라는 걸 확인했다면, 다음은 실전 신청!
근로장려금은 가만히 있다고 들어오는 돈이 아닙니다. 직접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어요. 신청 기간을 놓치면 1년 내내 ‘아, 내가 왜 그때…’ 후회합니다. 진짜예요!

정기 신청은 2025년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이때 신청하면 8월 말쯤 입금! 휴가철에 보너스 받는 느낌, 저만 느낀 거 아니죠?
기간 놓쳤다 해도 실망 금지! 6월 3일부터 12월 1일까지 기한 후 신청 가능! 단, 이때는 지급액이 95%로 줄어드니, 꼭 5월에 신청하는 걸 추천합니다.
신청 방법도 정말 다양해졌어요. 이제 세무서까지 힘들게 가지 않아도 누구나 집에서 뚝딱!
신청 방법 | 설명 | 준비물 |
---|---|---|
모바일 (손택스 앱) | 가장 쉬운 방법! 앱 실행 후 안내에 따라 순서대로 신청. | 스마트폰, 공동/금융인증서 |
PC (홈택스) |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PC, 공동/금융인증서 |
ARS 전화 | 1544-9944로 전화하여 음성 안내에 따라 진행. | 주민등록번호, 개별인증번호 |
세무서 방문 | 직접 방문! 인터넷 어려운 분들에게 추천. | 신분증, 통장사본 등 |
최근에는 ‘자동 신청 제도’ 덕분에, 한 번만 동의하면 앞으로 2년간은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접수! 매년 까먹는 분들에겐 진짜 반가운 소식이죠.

일하는 우리 모두를 위한 진짜 든든한 제도, 근로장려금! 조금만 관심 가지면 어렵지 않게 신청하고, 생활에 힘이 되는 지원금 받을 수 있습니다.
복잡하고 멀게 느껴지는 정책도, 결국 내 삶을 지켜주는 든든한 울타리가 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두시고, 올해는 잊지 말고 챙겨가세요. 모두의 가정에 든든한 보탬이 되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FAQ)
Q. 작년에 소득이 0원이었어요.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나요?
☞ 아쉽게도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일한 대가’가 있어야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이 0원이면 신청불가!
Q. 부모님과 살고 있는데, 세대 분리하면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나요?
☞ 단순 주소 이동만으로는 어렵습니다. 가구 단위 심사라 독립적으로 소득·재산 요건 모두 충족해야 하며, 부모님 부양자녀로 등록돼 있다면 역시 신청 불가예요.
Q. 아르바이트 소득도 꼭 신고해야 하나요? 신고 안 하면?
☞ 네! 아르바이트 소득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근로장려금 심사에서 불이익이 있거나, 아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 꼭 정직하게 신고하세요.
Q. 신청만 하면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
☞ 신청했다고 모두 받는 건 아니고, 가구·소득·재산 요건을 모두 통과해야 해요. 국세청 심사 결과에 따라 지급 여부와 금액이 결정됩니다.
구분 | 정기 신청 | 반기 신청 |
---|---|---|
신청 기간 | 2025.5.1~6.2 | 2024.9.1~9.19(상반기), 2025.3.1~3.17(하반기) |
대상 |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자 | 근로소득자(일용·상용) |
지급 시기 | 8월 말 | 12월 말(상반기), 익년 6월(하반기) |